2022. 2. 20. 17:58ㆍ디지털디자인/3D공부
전체 창 살펴보기
레이아웃을 이렇게 여러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북마크를 통해 현재 뷰포트장면을 저장할 수 있는데 ctrl+1을 누르면 1번에 장면이 저장된 것이다.
또한 G를 누르면 게임뷰가 활성화 된다. 게임뷰는 에디터뷰(기본설정)과 다르게 play했을때 화면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
World Outliner
해당 레벨에 있는 아이템들을 보여주는 창이다. 폴더를 통해 정리가 가능하고, 아이템끼리 종속시킬 수가 있어 한몸처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Ctrl + G를 통해 그룹으로도 묶을 수 있는데, 만약 그룹이 안되는 경우는 Setting > Allow Group Selection을 활성화 시켜 주어야 한다.
floor과 wall을 그룹으로 묶었다. 그러면 5개의 아이템이 한번에 선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Unlock을 통해서 그룹도 풀지 않으면서 그룹내의 개별 아이템을 하나씩 선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tail Panel
디테일 패널은 레벨안에 아이템들의 세부 정보를 표시해준다.
디테일 패널 상단에는 해당아이템이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를 표시해주고, 하단에는 properties를 표시해준다.
Add component를 통해 해당 아이템의 component를 추가할 수 있다. 계단에 point light 컴포넌트를 추가하였다.
또한 이렇게 만든 디테일 설정들을 블루프린터로 만들 수도 있는데, Bluprint/Add script를 누르고 블루 프린트 위치를 정해주고 compile 해주면 된다.
이렇게 블루프린터로 만들어 놓으면 해당 설정을 여러번 쉽게 사용 가능하다.
Edit Blueprint오른쪽 화살표 > reset instance changes to blueprint default 를 통해 설정 초기화가 가능하다.
하단의 propery들을 수정하여 아이템들의 변경도 가능한데, 어떠한 property들이 detail창에 보여 지는지 오른쪽 상단의 눈동자를 클릭하여 설정할 수 있다.
property matrix를 통해 한꺼번에 선택된 아이템들의 어떠한 변수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detail창을 여러개 만들어서 여러아이템을 비교할 수 도 있는데, window> details에 들어가서 여러창을 만들 수 있다.
detail창 위에 있는 자물쇠 버튼을 누르면 해당 아이템의 detail로 잠궈지게 되는데, 잠그고 다른 아이템을 선택해도 그 창에서 detail은 변하지 않는다.
모드 패널
shift+1, shift+2, shift+3, shift+4등을 통해 여러 모드를 볼 수 있다. 하지만 landscape모드와 foliage모드는 아이템 수정에 제한이 있다.
geomatric을 추가하고 shift +5를 눌러 mesh paint모드를 활성화 시키면 해당 지오메트리 수정이 가능하다.
Content Browser
폴더 형식으로 되어있는 content browser이다.
contents brower에도 여러가지show 옵션이 있는데, developers content같은 경우 개발자 전용 폴더를 만들 수 있어서 필요없는 것들을 가져오기 용이하다.
썸네일 에디트 뷰는 썸네일이 어떤 아이템을 뜻하는지 알아보기 힘들 때 썸네일 수정을 하는 용도이다.
또한 내가 원하는 아이템들만 있는 컬렉션을 따로 만들 수 있는데, 검색창 오른쪽의 아이콘을 선택해서 컬렉션모드와 콘텐츠모드를 변경 가능하다.
콘텐츠에서 드래그 드롭으로 컬렉션 을 채울 수도 있다 이건 정적 컬렉션이다.
다음과 같이 동적 컬렉션을 만들어서 콘테츠가 수정되는 사항을 바로 파악하여 컬렉션으로 수정된 아이템을 넣고 빼주는걸 자동으로 해준다.
동적 컬렉션과 정적 컬렉션은 다음과 같이 보여지는 아이콘이 다르다.
오랜만에 처음 배우는 툴이라 너무 어렵다. 익숙해지면 되겠지 하하
'디지털디자인 > 3D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엔진 Configurator 3일차 (0) | 2022.04.11 |
---|---|
언리얼 엔진 Configuration 2일차 (0) | 2022.04.11 |
언리얼 엔진 5 & configurator (0) | 2022.04.10 |
언리얼 엔진 3일차 (0) | 2022.02.22 |
언리얼 엔진 UE4 1day (0) | 2022.02.15 |